시드니 Black Lives Matter 시위 주최측 추산 5만명-경찰추산 2만명 참가 <br> 시위 직전 항소법원 극적 시위 승인
6일 시드니에서 주최측 추산 5만여명이 참석한 'Black Lives Matter' 시위가 평화스럽게 진행되었으나 종료 후 센트럴역 구내에서 경찰이 일부 시위대에 최루가스를 분사했다. 시드니 Black Lives Matter 시위 주최측 추산 5만명-경찰추산 2만명 참가 <br> 시위 직전 항소법원 극적 시위 승인

6월 6일 토요일 호주 전역에서 미국 ‘Black Lives Matter’ 운동과 연대하며 호주 원주민에 대한 경찰의 부당한 대우와 경찰 구금 중 원주민 사망사건에 항의하는 시위가 열렸다. 시드니에서는 시위 전날인 5일 NSW주 대법원에서 시위를 승인하지 않았으나 당일 시위 시작 14분을 남겨놓고 NSW주 항소법원에서 극적으로 판결이 뒤집혔다.

NSW주정부와 경찰의 시위 참가 우려, 대법원 승인 거부에도 불구하고 시위 당일 시드니 시청 앞에는 이미 미국과 호주의 흑인 차별에 항의하는 군중이 거리를 가득 메웠다. 시위 참가자는 경찰 추산 약 2만명, 주최측 추산 5만명이다.

오후 3시로 예정되어 있던 시위 시작 14분 전 NSW주 항소법원이 Black Lives Matter 시위 승인거부 결정을 뒤집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모여있던 시위 참가자들은 크게 환호했다. 데이빗 슈브리지 녹색당 의원은 항소법원 판결 소식을 전하면서 “몇세기 동안 원주민(First Nations)에 적대해 놓여있던 시스템”과 싸울 때 어떤 경우 “시스템에 이기는 그런 순간이 있다”며 항소법원 판결이 그 순간 중 하나라고 말했다.

항소법원 판결로 인해 시드니 시위 참가자들은 공중보건 행정명령을 어긴 이유로 처벌받지 않게 됐다.

Stop All Black Deaths in Custody Sydney

Posted by USYD Autonomous Collective Against Racism – ACAR on Friday, 5 June 2020

시위 주최측은 참가자들에게 사회적 거리두기를 지킬 것을 당부했지만 시청에서 벨모어공원까지 행진하는 참가자들이 실제로 1.5미터 간격을 두는 것은 거의 불가능했다. 시위 주최측과 자원봉사자들은 참가자들에게 마스크와 손소독제를 나누어 주었다.

시위에 참가한 많은 호주 원주민들은 눈물을 글썽인채 경찰 구금 중 사망한 원주민의 사진을 들고 있었다. 1991년 이후 호주 원주민 432명이 경찰 구금 중 사망했지만 이에 관련해 책임을 지거나 기소된 경찰은 없다.

참석자 가운데 가디갈족 여성인 샤나야 도노반씨는 ABC뉴스와 인터뷰에서 자신도 항상 인종 프로파일링을 당하기 때문에 벌금이나 구금 위험에도 불구하고 시위에 참석했다고 말했다. 도노반씨는 “내가 무언가를 훔칠 것 같다는 듯이 K마트에서 (직원이) 따라다녔다”며 의심받지 않기 위해서는 “직장 유니폼을 입고 들어가야 한다는 것을 알게됐다”고 말했다. 또한 “공공장소에서는 경찰이 노려본다”고 서러움을 토로했다.

BLM 시위는 호주 전역에서 대부분 평화롭게 진행되었지만, 공식 행사가 끝난 뒤 시드니 센트럴역 안에서 경찰이 시위대 약 100여명에게 최루가스를 발사했다.

경찰은 확성기로 시위대에게 해산하지 않으면 체포될 것이라고 경고한 후 이 중 일부에게 최루가스를 분사했고, 남성 1명을 체포했다. 경찰은 전철역 안으로 군중을 이동시키려고 했으나 수십명이 거세게 저항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시위대 측은 경찰이 역 통로를 막고 수십명을 구석으로 몬 후 구호를 외쳤을 뿐인데 최루가스를 분사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시위 참가자들이 소셜미디어에 올린 글, 영상, 사진 및 페데스트리언 TV 보도에 따르면 시위가 끝난 벨모어 공원 인근 센트럴역에서 경찰이 시위대를 역 안으로 밀어 넣고 경찰병력으로 출입구를 막았다. 잠시 밖으로 잠시 나갈 수 있는 시간도 있었으나 곧 경찰은 시민과 시위대의 역 출입을 막고 시위대를 점점 구석으로 들어가도록 포위망을 좁혔다. 영상으로는 물리적인 충돌이 관찰되지 않고 구호를 외치거나 이동을 막는 경찰에 시위 참가자들이 구두로 항의하는 상황에서 갑자기 경찰이 시위 참가자들을 향해 최루액을 본사하기 시작했다.

이 가운데 한 여성은 7뉴스와 인터뷰에서 자신이 목발을 짚고 시위대와 경찰 사이에 서서 시위대를 뒤로 밀던 경찰에게 “손을 떼라”고 외친 후 경찰이 자신의 얼굴과 10cm도 떨어지지 않은 거리에서 최루액을 분사했다고 주장했다. 이 여성은 최루액으로 인한 고통이 너무 심해 병원으로 이송되어 최루액을 얼굴과 옷에서 씻어내야 했다.

시위 참가가들과 주관단체에서는 경찰이 코로나19 전파 위험 때문에 시위를 반대하면서도 오히려 경찰들이 마스크를 하거나 물리적 거리두기를 두지 않았다고 비난했다. 경찰은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고 밀착한 상태에서 시위대를 구석으로 압박하기 위해 근접해 다가갔다. 최루액 분사는 기침을 유발하고 최루액 분말로 인해 코로나19 감염 위험을 높이기 때문에 미국 의료계와 시민사회 단체에서는 최근 공개서한에서 항의 시위 경찰 대응시 최루액 분사를 자제해 줄 것을 당부했다.

시드니 경찰은 지난 토요일 NSW주 전역에서 시위가 평화롭게 진행되어 만족스럽다고 밝혔다. NSW주에서는 시드니를 비롯 뉴카슬, 바이론베이, 리즈모어, 코프스하버, 포트 맥쿼리, 와이옹, 와가와가, 브로큰힐에서 BLM 시위가 열렸다.

시드니 시위 대응 작전을 이끈 믹 윌 NSW 경찰 부청장은 주 전역에서 열린 유사한 시위로 인한 지역사회 혼란은 최소에 그쳤다며 지역 경찰서장들이 “시위가 모두 기본적으로 평화스러워서 만족했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윌 부청장은 “처음 대법원 판결이 뒤집혔을 때 이미 경찰 작전이 진행중이어서 시드니에서 어려움이 있었지만, 행사가 순조롭게 진행될 수 있도록 신속하게 계획을 바꿨다”고 밝혔다. 또한 현장 출동 경찰이 물리적 거리두기에 대한 우려를 제기했고 경찰이 일부 참가자들을 검문했지만 공식적인 경찰 작전은 필요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토요일 시드니 도심 경찰 작전 중 당일 남성 3명이 체포됐다. 시위 시작 전인 오후 2시 20분 경 시드니 시청역에서 시위 현장으로 향하던 15세와 23세 남성이 몸싸움을 벌여 난동 혐의로 체포됐다. 경찰은 23세 남성이 경찰에 공격적이 되어 테이저총을 쏴 체포했다고 밝혔다.

이 남성은 병원으로 이송되어 치료를 받았으며 퇴원 후 경찰은 난동 혐의로 기소할 계획이다. 같이 있던 10대 소년은 청소년 경고장이 발부되었으며 두 사람은 서로 아는 사이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 다른 남성은 오후 2시 30분쯤 타운홀 전철역에서 평화교란 혐의로 체포됐지만 다른 곳으로 이동되어 경찰 검문 후 추가 절차 없이 풀려났다.

No comments so far.

Be first to leave comment below.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