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방정부와 주·준주 정부가 3월 16일부터 호주 전역에서 500명 이상 필수적이지 않은 대중행사 중지를 권고하기로 의견을 같이했다.
또한 13일 호주정부협의회(COAG) 회의 후 기자회견을 통해 연방총리와 주총리, 준주 수석장관으로 구성된 전국내각을 설립해 최소한 1주일에 한번식 회의를 갖고 코로나19에 대한 전국적인 대응책을 마련한다고 밝혔다.
연방수석의료관이 이끌고 주별 수석보건관으로 구성된 호주보건수석위원회(AHPPC)가 내무부 산하 국가조정기구(National Coordination Mechanism)와 함께 전국내각에 자문을 제공하는 주요 기구가 된다. 5일 총리가 발표한대로 국가조정기구는 ‘세계적 대유행’의 영향을 관리하기 위한 일관된 정책을 확보하기 위해 호주 전체 주·준주 정부, 기업계와 핵심 관계기구에 걸쳐 작동하게 된다.
WHO에서는 코로나19가 전세계로 퍼져나가면서 ‘세계적 대유행’을 인정하기 전부터 모든 정부가 코로나19 감염 문제를 심각하게 간주해 정부 최고위급에서 일관된 대응을 해 줄 것을 촉구했다.
한국은 2월 20일 확진자가 100명을 넘고, 사망자가 1명 발생하자 23일 코로나19 대응체제를 정세균 국무총리가 본부장을 맡는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로 격상했다.
그러나 호주는 주·준주별로 보건장관과 수석보건관이 코로나19 대응을 주도해 왔고 모리슨 총리는 5일 한국에 대한 입국금지령을 발표하면서도 전국적 대응을 내무부 산하 국가조정기구에 일임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5일 이후에도 각주와 준주정부에서조차 코로나19 대응을 주총리가 아닌 보건부에 맡겨 놓는 상태가 지속됐다. 또한 국가조정기구가 작동한 후에도 주와 준주의 코로나19 예방이나 대응 안내는 내용이 약간씩 차이가 났다.
WHO에서 ‘세계적 대유행’을 발표하고 나서도 머뭇거리던 호주 정부는 유럽전역에서 코로나19 감염이 더 맹위를 떨치자 입국금지 확대 조치 대신 ‘전국내각’과 대규모 군집 금지를 대안으로 내 놓은 것이다.
지역사회 감염 막기 위해 대규모 행사 중지 권고
연방정부는 필수적이지 않은 500명 이상이 모이는 조직된 공공행사 개최 중지 권고가 호주에서 코로나19의 지역사회 감염을 줄이기 위한 예방적인 조처라고 설명했다.
AHPPC는 이번 조처가 호주내 지역사회 감염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신규 확진자 수 증가를 늦추게 될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이번 조처는 시드니 플레밍튼 패디스 마켓 (Paddy’s Market, Flemington)이나 멜번 퀸빅토리아 시장, 댄디농 시장 같은 과일야채시장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그러나 코로나19 감염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 고객 숫자를 관리하거나 매대 밀도를 줄이는 것과 같은 추가 조처를 취해야 한다.
또한 작업장, 회사, 병원, 대중교통, 국내 교통 및 대학은 물론 쇼핑센터와 같은 대중이동시설도 규제 대상에 포함되지 않는다. 행사별 장소와 행사 관리는 주관단체와 주 및 준주정부가 계속 책임진다.
필수적인 것으로 간주되는 행사나 모임은 주총리나 준주 수석의료관이 행사별로 심사하며 사회적 거리두기 조처로 위험이 감소될 수 있다는 조건 하에서 진행할 수 있는지를 결정한다.
500명 미만 실외 행사는 계속 진행할 수 있다. 그러나 1인당 최소 4m2 공간을 확보해야 하기 때문에 실제 이러한 행사를 개최할 수 있는지는 의문이다. 또한 100명 미만 실내 모임과 같이 손세정제와 쓰레기 용기 및 청소와 폐기물 처리에 대한 지침도 적용된다.
또한 호주정부는 스마트트래블러 해외여행 경보를 전체적으로 3등급인 ‘해외여행 필요 재고’로 격상했다. 호주 정부는 현 시점에서 행선지나 나이, 건강상태와 상관없이 필수적이지 않은 여행은 지금이 적절한 때인지 재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현재 세계적 코로나19 세계 대유행으로 보건상 위험이 증가하고 있어서 해외에서 코로나19에 감염될 위험이 더 높고 국가간 여행 제한으로 해외 여행이 더 복잡해지고 예측 불가능해졌기 때문에 해외여행 자체를 재고해 줄 것을 당부했다.
연방총리는 그러나 가능한 가정이나 사업장에서 일상생활을 영위해 달라고 부탁했다.
No comments so far.
Be first to leave comment bel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