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호주 방산시장 진입을 10년 넘게 시도해 온 한화디펜스의 K9 자주포가 드디어 호주에 상륙한다.
호주 국방부는 3일 K9 자주포를 생산하는 한화디펜스를 호주 육군 현대화 프로젝트 가운데 ‘Land 8116’ 자주포 획득사업의 단독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K9 자주포 30문과 K10 탄약운반장갑차 15대, 기타 지원 장비 등을 도입하는 이번 사업에는 총 1조 원 가량 예산이 편성되어 있다.
한화디펜스는 호주 정부와 제안서 평가와 가격 협상 등을 진행한 후 내년 최종 계약을 체결하게 된다. K9 자주포는 2010년 삼성테크윈 시절 호주 육군 자주포 사업 최종 우선협상대상 장비 후보로 선정됐지만 호주 정부의 국방비 삭감으로 2012년 자주포 사업 자체기 폐기되고 BAE 견인포만 도입됐다. K9은 2015년 한화그룹에서 삼성테크윈을 인수한 후 한화디펜스의 대표적인 효자 제품이 됐다.
한화디펜스는 한국과 호주 정부가 그동안 지속적인 국방·안보 협력을 이어온 것을 이번 성과의 원동력으로 꼽았다. 한화디펜스에 따르면 양국 정상은 지난해 9월 뉴욕 유엔총회에서 열린 정상회담에서 국방·방산 협력을 주요 의제로 다뤘으며, 12월 시드니에서 열린 양국 외교·국방(2+2) 장관 회의에서도 방산협력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또한 한화디펜스가 호주법인을 설립한 이후 현지 생산시설 구축 계획 등 호주 방위산업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지원 방안을 모색하며 적극적인 ‘현지화 노력’을 기울여 온 점도 주효한 것으로 보인다. 자주포가 생산되는 질롱은
호주법인 대표 리차드 조 (Richard Cho) 상무는 “현지 자주포 생산 및 정비 능력을 구축하여 최고 성능의 장비를 호주 육군에 제공할 계획”이라며 “호주군을 통한 K9의 성능개선 활동이 K9 계열 장비를 운용중인 다른 국가에도 적용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화디펜스는 또한 호주 자주포 생산역량 강화를 위해 현지 중소 업체들과 협력 방안을 논의하는 등 유기적인 현지 납품체계 구축에 공을 들이고 있다. 호주 정부는 현지 자주포 생산 시설 등이 구축되면 빅토리아주 질롱에 일자리 약 350개가 창출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K9 자주포는 한국을 포함 전 세계에서 1,700여 대가 운용 중인 한국을 대표하는 방산 수출 장비이다. 2001년 터키를 시작으로 폴란드와 인도, 핀란드, 노르웨이, 에스토니아 등에 수출됐으며, 최근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인한 어려움 속에서도 정상적인 생산 및 해외 납품을 이어가고 있다.
한화디펜스는 “K9이 155mm, 52구경장 자주포로… 화력지원과 실시간 집중 화력 제공 능력을 바탕으로, 사막에서 설원까지 다양한 작전환경에서의 운용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호주에는 방호력과 감시·정찰 능력이 한층 강화된 최신 K9 장비가 납품될 예정이다.

또한 호주는 노르웨이에 이어 K10 탄약운반장갑차를 도입하는 두 번째 국가가 될 예정이다. K10은 한번에 포탄 104발을 적재할 수 있으며, 신속한 자동 탄약 공급으로 K9 자주포의 작전 능력을 극대화시킨다. 특히, 호주 육군에 납품될 K10 차량은 K9 자주포 수준의 방호력을 갖춘 ‘K10 AARV(Armored Ammunition Resupply Vehicle)’ 기종으로 생산될 예정이다.

한화디펜스 이성수 대표이사는 “호주 K9 도입 결정은 한-호주 국방·방산협력의 값진 결실이자 대한민국 방위산업의 기술력과 신뢰도를 입증한 쾌거”라며 “호주 정부와 긴밀한 소통과 협력을 통해 현지 생산시설 구축과 인력양성 등에 힘써 호주 방위산업 활성화에 기여하도록 최선을 다 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화디펜스의 K9 자주포는 국방과학연구소와 한화디펜스가 10년에 걸쳐 국내기술로 독자 개발해 1998년 개발을 완료한 제품으로, 한화디펜스에 따르면 “압도적인 화력과 높은 기동성 및 생존성”을 자랑한다.
K9 자주포는 검증된 성능을 인정받아 대한민국 방산 수출을 이끌고 있다. 2001년 한국 방산 기업으로는 최초로 터키와 기술이전을 통한 현지생산 공급계약을 체결한 이후, 폴란드, 인도, 핀란드, 노르웨이, 에스토니아 등과 연이어 수출 계약을 맺었다. 현재까지 수출된 K9 자주포는 약 600여 문에 달하며, 추가 수출 협의도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국내 포함 1700여 대의 K9 자주포가 전 세계에서 운용 중이다.
스톡홀롬국제평화연구소(SIPRI)에 따르면 지난 2000~2017년 세계 자주포 수출 시장에서 K9 자주포는 48%를 차지했다. 이는 세계 최강 자주포 중 하나로 평가받는 독일 PzH 2000보다 높은 수출 실적이다.
K9 성능개량도 가속화되고 있다. 2018년부터 보조동력장치, 열상형 야간잠망경, 자동사격통제장치 등이 추가된 K9A1 성능개량 모델이 순차적으로 한국 군에 납품되고 있다. 향후 고반응 원격 자동화포 기술 등이 접목되고 원격 무인화·자동화가 가능한 K9A2가 개발될 예정이며 포탑 및 기동 완전 무인화가 가능한 K9 개발도 2030년 이후에 진행될 예정이다.
한화는 지난해 2월 호주 육군의 궤도형 장갑차 도입 사업인 ‘Land 400 Phase 3’ 사업을 겨냥해 빅토리아주 멜번에 호주법인 Hanwha Defense Australia (HDA)를 설립했다. 한화디펜스의 레드백 장갑차는 지난해 9월 ‘Land 400’ 3단계 사업 2개 최종후보 장비에 선정되어 시제품 2대가 빅토리아주 질롱에 도착해 11월부터 10개월간 호주 육군에서 현지 시험평가를 진행한다.
No comments so far.
Be first to leave comment bel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