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재인 대통령에 진단 키트·의료장비 수입지원 요청
한국의 코로나19 진단키트 지원을 요청하는 세계 정상 대열에 스콧 모리슨 총리도 합류했다.
청와대는 스콧 모리슨 총리의 요청으로 7일 오후 3시부터 25분간 문재인 대통령과 모리슨 총리가 전화 통화를 했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최근 양국을 오가는 정기 항공편은 중단되었으나, 한국으로 귀국을 원하는 우리 재외국민들의 요청에 따라 임시 항공편이 운항될 수 있도록 호주 정부가 적극적으로 협조해 주신 데 감사드린다”며 사의를 표했다. 호주 정부에서 3월 5일부터 사실상 한국인에 대한 입금 금지 조처를 취하면서 호주와 한국간 직항이 취소되어 호주를 방문 중이던 한국인 여행자와 임시비자 소지자가 큰 어려움을 겪다.
청와대는 지금까지 호주에 있는 재외국민 1,000여 명이 임시 항공편으로 귀국했고, 앞으로도 임시 항공편 운항을 추진 중에 있다고 밝혔다. 호주 정부는 원칙적으로 외국인의 경우 입국 및 경유를 금지하고 있지만 솔로몬제도 내 한국 KOICA 단원 12명도 호주를 경유해 귀국했다.
모리슨 총리는 “앞으로도 호주 내 한국인들이 무사히 귀국할 수 있도록 기꺼이 도울 것”이라고 약속했다. 이어 총리는 “한국이 코로나19 사태에 강력한 리더십으로 매우 성공적으로 대응하고 있는 것을 잘 안다”면서 “호주도 한국 모델을 따라하려고 노력 중”이라고 밝혔다.
또한 모리슨 총리는 “코로나19와 싸우기 위해 한국의 도움이 필요하다”며 한국산 진단키트와 의료장비 수입을 위한 지원을 요청했다. 문 대통령은 “진단키트와 방역 물품 등에 대한 협력 요청 사항을 외교채널을 통해 구체적으로 알려 주시면 형편이 허용하는 대로 도움을 드릴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답했다.
문 대통령은 “G20 특별 화상 정상회의에서 언급했듯이 각국의 방역 조치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기업인 등 필수 인력의 이동을 허용할 필요가 있다는 공감대”를 언급하며 “기업인들의 시급한 방문 등에 있어서는 일정한 요건 하에 상호 입국이 허용될 수 있도록 총리님의 관심과 지원을 기대한다”고 부탁했다. 한국과 호주는 내년 수교 60주년을 맞는다.
모리슨 총리는 연내 ‘화상 정상회담’을 제안하며 코로나19 위기 극복 방법, 취약국가와 협력 방안, 양국간 무역관계의 안정적 발전 방안 협의를 제시했다. 문 대통령은 ‘화상 정상회담’을 “외교채널을 통해 구체적으로 협의하도록 하자”고 긍정적으로 답했다.
청와대 강민석 대변인은 또한 한국의 코로나19 대응상황과 안정화 전망에 대한 모리슨 총리의 문의에 문 대통령이 민주성, 투명성, 개방성의 3대 원칙에 입각한 한국의 방역 및 치료 방식을 상세히 설명했다고 전했다.
모리슨 총리는 통화 중 “지난 1월 호주 산불 발생 시 한국 정부가 보여준 관심과 지원”에 감사도전했다. 모리슨 총리는 7일 문재인 대통령과 통화한 직후 호주정부가 코로나19 대응에 기초로 삼는 모델링을 발표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문재인 대통령은 2월 20일 중국 시진핑 주석을 시작으로 미국, 캐나다, 프랑스, 덴마크, 스페인 스웨덴, 호주를 포함 21개국 정상의 통화요청을 받고 코로나19 대응에 대해 협의하거나 지원을 요청받았다. 이 외에 6개국 정상은 문 대통령에게 코로나19 대응 관련 서한을 보내, 한국에 협조나 지원을 요청한 정상은 총 28개국에 이른다. 외교장관이나 재무장관 차원에서 지원이나 협력을 요청한 국가까지 더하면 한국에 SOS를 보낸 국가는 더 늘어난다.
No comments so far.
Be first to leave comment bel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