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일본까지 입국금지 확대 안할 듯
중국발 외국인 입국금지 7일까지 1주 연장
호주정부가 중국에 더해 이란에서 출발하거나 경유하는 외국인에 대한 입국금지령을 발표했다. 그러나 정부는 이탈리아, 한국, 일본까지 입국금지령을 확대하지 않을 것이라고 시사했다.
3월 1일부터 이란을 방문한 외국인은 이란 출발 또는 경유 후 14일간 호주 입국이 금지된다. 물론 호주국적자와 영주권자 및 직계가족(배우자, 법적 보호자 또는 부양가족 포함)은 제외된다. 또한 이란에 대한 여행경보도 최고등급인 ‘여행금지’로 격상된다.
정부는 이란이 중국 후베이성 이외 지역 중 코로나19 발생이 최대인 것을 시사하는 증거를 기반으로 호주보건수석위원회(AHPPC)에서 여행 제한을 권고했다고 설명했다. 이란은 코로나19로 인한 사망자가 중국 후베이성 이외 지역 중 가장 많다. 또한 이란과 직항이 없고이란 여행객이 상대적으로 적은데도 불구하고 호주와 뉴질랜드를 포함 여러 국가에서 이란발 코로나19 사례가 발생한 것도 이유이다.
AHPPC는 이란의 확진사례가 공식 집계보다 더 많은 것이 거의 확실하다고 보고 있다. 따라서 중국을 제외한 나라 중 이란 여행자가 코로나19 유입 위험이 가장 크다고 판단했다는 것이다.
AHPPC는 중국 본토 관련 여행 제한이 여행객 수를 줄이는데 성공적이었다고 판단하며 이를 지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입국금지는 비정상적으로 위험이 높은 특정 국가에 대한 임시조처로 추가 여행제한은 코로나19 유입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브렌든 머피 수석의료관은 29일 언론브리핑에서 이탈리아와 한국, 일본에 대한 입국금지를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 “(확진) 사례가 많은 나라에서 퍼지고 있으며 호주를 더 고립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며 코로나19가 “발생하는 모든 나라에 대해 여행 금지와 검역조건을 부과할 수 없다”고 밝혔다.
머피 교수는 입국금지 확대 대신 코로나19 발생 국가에서 오는 여행자에 대해서는 입국시 여행자에게 증상이 발현하는 경우 의사 진찰과 검사를 받도록 안내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스콧 모리슨 총리는 27일 ‘세계적 유행병(pandemic)’이 호주를 덮칠 가능성이 있다며 호주보건수석위원회(AHPPC)에서 세운 호주보건부문 ‘비상대응계획’을 가동시킨다고 발표했다.
호주 외교부의 일본과 한국에 대한 여행경보는 2등급인 ‘고주의’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탈리아는 확진자가 급증하는 이탈리아 북부에 대해서만 ‘고주의’ 상태이며, 27일에는 몽골에 대해서도 여행경보를 ‘고주의’로 격상했다.
퀸즈랜드에서 이란 방문 이력이 있는 확진자가 발생하면서 호주내 확진자는 총 25명으로 늘었다. 이 가운데 15명은 모두 완쾌되었으며 나머지 9명은 일본 요코하마에 정박한 ‘다이아몬드 프린세스’호 승객이다. 주별로는 NSW 4명, 빅토리아주 7명 (승객3명), 퀸즈랜드 9명 (승객 3명), 서호주 2명 (승객 2명), 남호주 3명 (승객 1명)이다.
29일 오후 기준 코로나19는 전세계 58개국에서 발생해 확진자는 8만 5153명, 사망자는 2922명이다. 아이슬랜드, 뉴질랜드, 멕시코에서도 새로 확진자가 발생했다.
No comments so far.
Be first to leave comment below.